경제용어 : 기회비용/한계비용/수확체감의 법칙

기회비용

인간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현상을 희소성이라고 합니다.

희소한 자원을 가지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든지 부족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선택을 해야합니다.

즉 다양한 욕구의 대상들 가운데서 하나를 고를 수 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이 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무형의 이익 중 최선의 이익을 기회비용이라고 합니다.

자원의 희소성이 존재하는 한 기회비용은 반드시 발생하게 되어 있고 이는 경제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됩니다.

기업의 경우 기업가가 투자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나머지 선택의 가치인 투자금액의 은행예금 이자 등이 기회비용이 됩니다.

한계비용

재화나 서비스를 한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한계비용이라고 합니다.

즉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이 한계비용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면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이 됩니다.

추가로 생수 한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 이라면 생수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원-10000원 = 80원이되고 생수 102병째 비용은 70원이 되는 것입니다.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가도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다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생산의 목적이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면 반드시 한계비용의 움직임을 살펴보아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수학적으로 어던 함수값의 최소는 변수의 미분값이 0이 되는 곳에서 결정되는데, 한계의 개념은 바로 미분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상기하면 이해하기가 수월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하면 한계비용은 점차 감소하다 일정 수준의 생산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수확체감의 법칙

어떤 생산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본, 노동, 토지 등의 생산요소 가운데 자본과 토지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노동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생산물 전체는 증가하지만 추가로 투입되는 노동량 1단위당 생산물의 증가는 차차 감소한다는 법칙이 바로 수확체감의 법칙입니다.

수확체감의 법칙은 원래 농지에서 작업하는 노동자 수의 증가에 대한 1인당 수확량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으나 이후 모든 산업부문에서 특정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고정된 단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확장되었고 한계생산력 체감의 법칙으로 일반화되었습니다.

콘텐츠 무단복사 감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