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 레버리지효과/레버리지비율/디레버리징

레버리지 효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합니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합니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 합니다.

레버리지 효과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 증가하게 됩니다.

원칙적으로 레버리지가 내재한 투자의 예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경우를 상정해봅시다.

10억원인 아파트를 8억원의 전세를 끼고 자기자본 2억원으로 매입하였다면 투자 레버리지는 5배가 됩니다.

이후 집값이 10% 상승하여11억원이 되면 자기자본 2억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실제 가격변동률의 5배인 50%가 됩니다.

만일 집값이 30% 하락하여 7억원이 되면 투자수익률은 실제 가격변동률의 5배인 -150%가 되어 집값이 전세값에도 못미치는 소위 ‘깡통전세’로 전락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레버리지에 의해 손익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레버리지는 ‘양날의 검’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1997년 말 한국에 외환위기가 닥쳤을 때 많은 사업자와 기업이 파산하게 된 원인중 하나가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레버리지였습니다.

그러므로 투자를 할 때는 감내할 만한 수준 이내로 부채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레버리지 비율

레버리지비율은 ‘기본자본/총익스포저x100’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분자의 자본은 바젤3 기준 기본자본을 사용하며 분모의 총익스포저는 위험가중자산 기반의 자기자본비율과 달리 명목가액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자기자본비율 규제하에서 은행은 호황기에 보유자산의 위험가중치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외형상 높은 자기자본 수준을 유지하며 레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우 위기 발생시 급력한 디레버리징이 발생하여 위기가 증폭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레버리지비율 규제는 이러한 자기자본비율 규제의 문제점을 보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는 2015년1월부터 레버리지비율 공시를 의무화하였으며 은행들은 2018년 1월부터 최저 레버리지비율(3%)도 준수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글로벌 시스템적 중요은행에는 2022년 1월부터 시스템적 중요도에 다라 추가 레버리지 비율이부과될 예정입니다.

이는 위험가중자산 기반 자기자본비율 규제에서 G-SIB에 대해 부과하고 있는 추가자본 규제와의 일관성을 갖추기 위한 것으로 G-SIB는 자기자본비율 규제상 부과되는 추가자본의 50%만큼 상향조정된 레버리지 비율을 준수해야 합니다.

예컨데 2%의 추가자본이 부과된 G-SIB이 준주해야할 레버리지비율은 최저 레버리지비율 3%에 추가자본의 50%에 해당하는 1%가 가산된 4%가 됩니다.

동 레버리지비율을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 이익처분이 제한되는 것은 G-SIB 추가자본의 미준수시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디레버리징

디레버리징은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많이 수익을 낼 수 잇는 레버리지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그러나 경기가 불황일 때는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정리, 감축하는 디레버리징이 ㅎ ㅛ과적인 투자기법이 된다.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는 경제주체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하거나 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디레버리징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민간부문에게는 고통스러운 과정인데, 이는 자산을 할인가격에 매각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손실로 귀결되기 때문입니다.

거시경제측면에서 보면 경제전체의 디레버리징은 민간과 정부 등 여러 부분에서의 동시다발적인 부채 수준의 감축을 뜻합니다.

통상적으로 국민계정에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의 하락으로 측정됩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에서 나타난 경제 전체의 디레버리징은 거시경제 전반에 큰 악영향을 미쳤으며, 종종 경기불황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민간 부문의 디레버리징을 상쇄하는 과정에서 정부 부채가 증가하는 현상이 많은 나라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콘텐츠 무단복사 감시중